카테고리 없음

Obsidian 사용과 저널링, PKM, 제텔카스텐에 대한 단상

실망 2025. 2. 1. 01:32
반응형

이전에도 옵시디언 가이드 글을 쓴 바와 같이, 나는 지식관리 체계나 툴에 대해 지대한 관심이 있다. 그러나 솔직히 고백하자면 아직도 나는 옵시디언이나 저널링이나 제텔카스텐 방식의 메모를 잘 모르겠다. 정확히는, 그게 뭔지는 아는데 그걸로 어떤 구체적인 효용을 보지는 못하는 단계다.

그러나 계속 느끼는 바와 같이, 도구는 좋고 나쁨이 없으며 오로지 그걸 사용하는 방식만 그러하므로 계속해서 연구중에 있다. 조금씩 터득해가는 것 같다. 그 깨달음을 짧고 간단하게 요약 하자면 다음과 같다...

1. 최소정보화
2. 재참조와 재참조 가능한 체계
3. less is more

1 : 제텔카스텐 방식을 따른다면, 최소한, 모든 노트는 Atomic 해야한다. 즉, 원자 단위로 잘게 쪼개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차후에 전혀 관련이 없어보이는 것끼리도 연결할 수 있고, 그렇게 통찰을 얻어낼 수 있다. 반면, 전통적인 개인지식관리 체계를 지향한다면 굳이 이렇게까지 할 필요는 없다. 다만, 그렇다 하더라도 집단지성의 힘을 빌린 일반적인 위키와 달리, 개인 위키는 자신이 인지하지 못하는 건 없는 거나 다름 없기 때문에, 기존 문서 관리는 상당히 필요하다. (그리고 원자화 되지 않은 문서는 관리 및 재참조가 실로 어렵다)

2. 재참조란 당췌 무엇일까? 기존에 이미 적어놓은 것을 다시 들춰보고, 인용 한다는 의미다. 되지도 않는 걸 억지로 할 필요는 없다 (최소한, 할만큼 했는데도 잘 안 된다면 포기하는 게 맞다). 애초에 억지로 하는 게 아니다. 노트를 원자화 하라는 것도 재참조가 억지스러운 게 아닌 자연스럽게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렇다고 재참조만 문서 내용의 90% 이상이라면 그것도 안 될 일이다. 적정한 비율은 개인마다 다르겠지만 대충 인용과 새로운 글의 비중이 7:3 ~ 6:4 정도면 되지 않을지.

3. 저장강박을 배격하라. 적은 것이 더 낫다. 책상은 작업대이다. 지식관리체계도 그러하다. 책 속의 내용이 뒤얽혀있을지언정, 그 책을 보관하는 책장과 선반은 깔끔해야 한다. 이해하지 못하는 것을 그냥 필요할 것 같아서 저장하지 말라. 완전히 이해한 후에 타인에게 설명할 수 있을 정도가 되었을 때 비로소 메모하라. 그 정도의 이해도가 아니라면, 그 메모는 Archiving (세컨드브레인 중 PARA 방법론에 의한 분류) 으로 가야한다.

위와 같은 내용은 최근 푹 빠져있는 Anki 에도 해당되더라. 기실, 그 본질은 그냥 디지털 플래시카드이고 단지 복습 주기를 알아서 조정해주는 기능이 달려있을 뿐이다. 그렇다면 전통적인 플래시카드를 만드는 방법도 고스란히 Anki 에 적용이 되고, 또 그 방법은 제텔카스텐 방법론과 거의 같다. (단, 좀더 이해하기 쉬운 단위로 잘게 쪼개져있는 내용일 것이다.)

아무튼 이러한 배경인고로, Obsidian과 Anki, 제텔카스텐 방법론에 대한 글을 차후 왕성하게 써볼 계획이다.

저어새는 해로운 새다

반응형